m1 맥북은 외장모니터를 한대만 지원합니다.(21 이전의 맥북)
usb 썬더볼트 허브 등을 이용해서 hdmi를 여러대 꽂아도 결국 하나의 모니터에서만 출력이 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30만원정도를 투자해 고급 독을 구매하는 거지만, 이번 게시글에 목표는 가성비와 손쉬운 셋팅 방법입니다.
준비물: displaylink 칩이 내장된 어댑터, 모니터 2대
1. 제품 선택
displaylink를 지원하는 제품을 찾아야 합니다.
국내 제품으로는 NX-U3TH1, nm-che02 정도가 유명하지만 남은 재고가 없는것 같습니다.
해외 직구를 고민하던 중 국내 제품을 발견했습니다.
NEXT-313DPHU3
넥스트 이지넷유비쿼터스 USB 3.0 to HDMI 디스플레이 어댑터 NEXT-313DPHU3
COUPANG
www.coupang.com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자꾸 품절이 나오니 제품명으로 검색한 링크도 포함시킵니다)
해당 제품을 쿠팡에서 6만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displaylink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fresco 칩셋이 내장된 제품을 사서 드라이버를 직접 다운받아도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맥북 버전에 따른 드라이버 설치 이슈가 발생하는것 같아서 displaylink를 지원하는 제품을 구매했습니다.
2. 연결
(1) 썬더볼트 or usb 허브 연결
m1 맥북에는 c타입 포트만 지원하니 썬더볼트나 usb 허브를 연결해줍니다.
(2) hdmi 연결
모니터 한대를 추가로 연결하는 방법으로 허브에서 지원하는 hdmi포트를 사용합니다.(모니터 1과 연결)
(3) NEXT-313DPHU3 를 허브의 usb타입과 연결한후 hdmi포트로 모니터 2와 연결
꼭 해당제품이 아니어도 됩니다.
displaylink를 지원하는 어떤 제품을 사용해도 됩니다.(모니터 2와 연결)
3. displaylink
https://www.displaylink.com/downloads/macos
DisplayLink macOS Software for Downloads Section | Synaptics
DisplayLink macOS Software DisplayLink Manager is a new way to enable your DisplayLink dock, adapter or monitor on macOS platforms. It's an application that combines our latest driver with features that streamline the setup of mutliple displays up to 4K.
www.synaptics.com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실행합니다.
제 게시글은 제품추천을 위한 게시글이라 displaylink 사용법에 대해서는 상세히 작성하지 않겠습니다.
displaylink 사용법을 모르겠다면 아래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M1 맥북 프로에서 듀얼/멀티 모니터 사용하는 방법 (트리플모니터)
회사의 디자이너에게 USB-C 타입으로 연결할 수 있는 모니터와 요즘 핫한 애플 실리콘의 M1 맥북프로 보급이 하달되었다. 사실 나는 인텔맥 유저라 듀얼모니터도 안되지만, 긴배터리타임과 빠른
www.burndogfather.com
4. 완성
👍
댓글